기후변화 대응

만도는 신기후체제 등 국제적인 기후변화 대응노력에 기여하기 위하여 전사적인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수립하고 중점 전략과제를 수립하는 한편,
사업장별로 기후변화 대응체계 실행과 온실가스 관리와 에너지 절감활동을 추진하고 그 실적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기후변화
관리 체계

지배구조, 전략, 위험관리, 지표 차원에서 기후변화 리스크와 기회를 기업 경영에 통합 반영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다양한 활동들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공시 항목 주요 활동
1. 지배구조
  • · 투명경영위원회를 최고 의사결정 기구로써 실무조직까지 연계된 기후변화 관리체계 완비
2. 전략
  • · 경영체계 l 국제 인증 및 이니셔티브 참여 확대 및 친환경 제품 개발
  • · 감축 l 모든 사업장 온실가스 감축활동 추진
  • · 파트너십ㅣ기후변화 대응체계 협력사 관리 및 확산, 친환경 사회 촉진활동
3. 위험관리
  • · 기후변화 관련 전환적 위험과 물리적 위험 분석 실시
  • · 관리 리스크 방안 검토 및 경영활동에 통합적 감안
4. 지표 및 감축목표
  • · 온실가스 규제대응 직접비용 l 2025년 까지 약 78,000tCO₂의 배출권 부족예상 (비용 환산 23.5억 원)
  • · 중기 온실가스 감축목표 l 2025년 전사적 배출상한선(목표):61,772tCO₂

기후변화
리스크 관리

만도는 기후변화 리스크를 크게 4단계에 걸쳐 관리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정기적인 리스크 분석과 결과를 경영전략에 반영하고,
구체적인 관리활동과 연계하며 그 성과와 개선방안에 대한 검토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 기후변화
    리스크 분석
    • 연관성 높은 리스크 정의
    • 리스크 분석
      (리스크 발생 주기, 발생 가능성,
      리스크의 발생 시 재무적-지리적
      -시간적 영향범위 등)
  • 기업
    대응방안
    검토
    주제 별 전사전략 수립
    • 온실가스 감축
    • 사업장 건립 및 운영
    • 제품 및 서비스
    • 기술 R&D
    • 기후 변화 대응비용
  • 리스크 관리
    및 대응활동
    구체적인 관리활동 수행
    • 사업장 에너지효율 개선
    • 재생에너지 확충
    • 온실가스 감축사업 추진
    • 기후변화 이니셔티브 참여
    • 협력사 감축사업 지원
  • 리스크
    대응성과
    모니터링 및
    개선
    • 수행평과 모니터링
    • 활동결과 평가
    • 평가결과 반영 및 개선
    • 차년도 연간 활동계획 수립

온실가스
배출량 관리

만도의 직접 온실가스 배출량(Scope 1)은 사업장 내 보일러, 업무용 차량 운행, 비상발전기 가동 등으로 인해 발생하며,
간접배출량(Scope 2)은 주로 사업장 전력 소비, 외부에서 공급받은 스팀이나 온수 사용에 의해 발생합니다.
또한, 만도는 비즈니스 활동과 간접적으로 연관된 총 15개 온실가스 배출항목(Scope 3)에 대해 매년 산정 가능여부를 점검하고,
산정이 가능한 경우 온실가스 배출량을 집계, 관리하고 있습니다.

에너지 관리

만도는 ‘낭비 5 STOP 집중개선 활동’을 전개하여 ‘낭비 없는 ZERO 공장’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정기적으로 사업장별 에너지 절감 협의체를 운영하고 팀별 절감목표 달성율과 향후 계획을 보고하고 있습니다.